최근 테슬라로 차량을 교체한 이후, 전기차 충전에 따른 비용 절감 방안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장기적인 운용 효율성을 고려할 때, 전기차 전용 할인카드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업무 일정상 오랫동안 미뤄왔던 카드 혜택 비교를 이번 기회에 체계적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4월을 기준으로, 여전히 유효한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부터 일부 혜택이 축소되었거나 신규 발급이 불가능한 카드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적으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셔서 본인의 운행 패턴에 적합한 카드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1. 전기차 충전 할인카드 주요 6종 비교 (2025년 4월 기준)
| 카드사 | 카드명 | 충전 할인율 | 월 최대 할인 | 전월 실적 조건 | 비고 |
|---|---|---|---|---|---|
| 현대카드 | M Edition3 EV | 발급 중단 | – | – | 2024년 혜택 종료, 기존 고객에 한해 유지 |
| 삼성카드 | taptap EV | 40% → 30% | 최대 20,000원 | 월 30만 원 이상 | 2025년부터 할인율 및 한도 하향 조정 |
| KB국민카드 | 탄탄대로 EV | 30~50% | 최대 25,000원 | 월 30만 원 이상 | 주유 및 전기차 충전 병행 혜택 제공 |
| 롯데카드 | EV로움카드 | 50% | 최대 30,000원 | 월 30만 원 이상 | 테슬라 슈퍼차저 포함 가능 |
| 우리카드 | EV 플랜카드 | 30% + 고속도로 통행료 혜택 | 최대 30,000원 | 월 30만 원 이상 | 고속도로 통행료 캐시백 포함 |
| 신한카드 | EV Pass | 발급 중단 | – | – | 2024년 종료, 기존 사용자에 한해 유지 가능 |
2. 혜택 변경 및 발급 중단 카드 요약
| 카드명 | 상태 | 주요 변경 사항 |
|---|---|---|
| 신한 EV Pass | 신규 발급 중단 | 2025년부터 신규 신청 불가. 기존 보유자는 계속 사용 가능 |
| 삼성 taptap EV | 혜택 축소 | 할인율 40% → 30%, 최대 할인 25,000원 → 20,000원으로 조정됨 |
신한카드의 EV Pass는 현재 신규 발급이 전면 중단된 상태이며, 기존 사용자만 계속해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삼성카드의 taptap EV는 기존 대비 할인율이 하향 조정되었고, 월 최대 할인 한도 또한 감소하였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카드 선택 시 고려할 요소
전기차 충전카드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할인율만을 기준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충전 환경, 운행 범위, 고속도로 이용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 테슬라 슈퍼차저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 → 롯데 EV로움카드가 가장 적합합니다.
- 한국전력이나 환경부 공공 충전소 이용 비중이 높다면 → 삼성 taptap EV 또는 현대 M Edition3 EV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고 하이패스를 사용하는 운전자라면 → 우리 EV 플랜카드가 효율적입니다.
-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병행 운용 중이라면 → 주유 혜택까지 포함된 KB 탄탄대로 EV카드를 고려할 만합니다.
실제로 많은 전기차 운전자들은 카드 한 장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카드의 혜택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마무리 정리
전기차 충전 할인카드는 단순한 부가 서비스가 아닌, 차량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현재 발급 가능한 카드 중에서도 혜택이 우수한 경우 갑작스럽게 종료되는 사례가 많으므로, 일정 여유가 있을 때 미리 발급받아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신의 운행 스타일과 소비 패턴에 따라 적합한 카드를 1~2종 선택하여 병행 활용하시면, 충전 비용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전기차 충전비 절약에 관심이 있다면 꼭 카드 혜택을 꼼꼼히 챙겨보시길 바랍니다.